1월, 2020의 게시물 표시

정보보안기사 참고사이트모음

정보보안기사  기출문제 http://q.fran.kr/%EC%8B%9C%ED%97%98/%EC%A0%95%EB%B3%B4%EB%B3%B4%EC%95%88%EA%B8%B0%EC%82%AC

정보보안기사필기2

*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는  API 까지 제공하는 형태 * 클라우드 컴퓨터 :CLOUD COMPUTER 는 인터넷 기반 컴퓨터의 일종으로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 * ASP (Active Server Page) : 마이크로 소프트사에서 동적으로 웹페이지들을 생성하기 위해서 개발한 서버 측 스크립트 엔진 . * 스크립트 : 매우 빠르게 배우고 작성하기 위해 고안 ,  보통 스크립트는 시작에서 끝날 때 까지 실행되며 ,  명확한 엔트리 포인트는 없다 . * 컴파일 :  어떤 언어의 코드를 다른언어로 바꾸어 주는 과정 . * 스크립트 악성코드는 스크립트를 이해하고 실행하기 위해서 인터프린터가 있어야 한다 . * 논리폭탄 :  특정날짜나 시간등이 충족되었을 때에 악의적인  function 이 유발 할 수 있게 만든 코드의 일부분 ,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의도적으로 삽입 된 것이다 . * VBS(cript) :  확장자는  vbs 이다 ,  이메일에 첨부파일 형식으로도 전달 가능하다 * btmp:   로그인 실패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로그파일 * pacct :  사용자별 시간대 별로 명령어 보관 * utmp:   현재 로그인 중인 사용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로그 파일 * wtmp:   리눅스에 로그인과 로그아웃 정보를 가지고 있는 로그파일 * switch jamming : 스위치 장비가  mac 주소 테이블을 사용해서 패킷을 포트에 스위칭 할 때에 스위치 기능을 마비 시키는 공격기법 ,  즉 스위치에  random 으로  mac 주소를 무한대로 전송하여  mac 테이블의 저장용량을 초과하게 만들어 마비시킨다 . * icmp flooding : smurf 라고도 불리며 공격자가 

정보보안기사-필기1

*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RAID 는 디스크 고장시 백업디스크가 그대로 복구할 수 있도록  2 개이상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술 RAID0 :  최소  2 개의 디스크로 구성된다 . 작은 디스크를 모아 하나의 큰 디스크로 만드는 기술 중복저장은 없기 때문에 디스크 장애시 복구 불가 . RAID1:   Disk Mirroring 은 여러 디스크에 데이터를 완전 이중화하여 저장 고비용 , 병렬적 , 속도가 빠르다 . RAID2:   ECC 기능이 없는 디스크의 오류복구를 위하여 개발 Hamming Code 를 이용하여 오류 복구 RAID3:   Parity  정보를 별도  Disk 에 저장 1 개의 디스크 장애시  Parity 를 통해 복구 가능 write  기능 저하 RAID4:   Parity 정보를 별도  Disk 에 저장 Block 단위로 데이터디스크에 분산저장 RAID5:   분산  Parity 를 구현해 안정성 향상 최소 3 개디스크 RAID6:   Parity 를 다중 저장 * TTL window  운영체제 기반 : ttl = 128 unix  운영체제 기반 : ttl = 64 others  운영체제 기반 : ttl = 255 (but  최대  – 30 까지 가능 ) * ping 은  icmp 를 사용 * MMC(Microsoft Management Console) 은 다양한  application 을 위한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 SAM(Security Account Manager) 은 윈도우 사용자 계정정보를 가지 고 있다 . * SRM(Security Reference Monitor) 은 윈도우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sid 를 할당하고 권한을 부여한다 . * LSA(Local Security Authority) 은 모든 윈도우 사용자에

[WRTC] Browser-based WebRTC stream from RTSP IP camera with low latency

이미지
Browser-based WebRTC stream from RTSP IP camera with low latency Reportedly, today there are  hundreds of millions  of installed video surveillance IP cameras. Surely, not all of them require low latency video playback. Video surveillance is typically static – the stream records to the storage and is analyzed to detect motion. There are plenty of software and hardware video surveillance solutions that do their job pretty well. In this article we will introduce a slightly different usage of an  IP camera , namely – online broadcasting in applications where  low latency communication  is required. First of all, let’s deal with common misunderstanding of terminology when it comes to webcams and IP cameras. Webcam  is a video capturing device that does not have its own CPU and network interface. A web camera needs to be connected to a computer, a smartphone or any other device to use its network capabilities and CPU. IP camera  is a standalone device with its own network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