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19의 게시물 표시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서 Google drive와 sync하기

이미지
5 months ago   Linux ,  RaspberryPi ,  Laboratory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서 Google drive와 sync하기 연구실에서는 보통 라즈베리파이와 라즈베리파이 카메라를 이용해서 연구를 진행하는 편인데, 실험 결과를 매번 ftp와 filezilla를 이용하였다. 근데 어차피 노트북으로 작업하던걸 데스크탑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구글 드라이브를 사용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그냥 라즈베리파이에서 업로드를 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기로 하였다. 구성하기 전에 이리저리 구글에 검색을 해봤는데 윈도우나 맥에서는 자체 프로그램이 제공되지만 리눅스는 지원하지 않아 먼저 개인 NAS를 돌리고 있는 동기 형에게 백업 프로그램을 물어봤다. 그렇게 Rclone을 알게되었고 라즈베리파이의 경우는 ARM코어라 x86에만 구동하는 것들은 안 돌아가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검색한 결과 상관없이 잘 작동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역시 친절한 개발자들은 설치 스크립트까지 github( https://github.com/pageauc/rclone4pi )에 올려두었다. 그래서 이를 이용하여 잘 활용하여 세팅하였다. 1. 라즈베리파이 패키지 업데이트 모든 작업을 하기전에는 패키지 업데이트를 진행하자.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y 2. 설치 스크립트 다운 및 설치하기 업데이트가 완료 되면 설치 스크립트를 받아야 하는데 제작자가 친절하게 Readme에 코드를 복사하여 넣으라고 한다. 개발자의 말을 잘 듣는 착한 학생이 되어야하니 시키는 대로 하자. cd를 이용해 원하는 폴더로 이동한 후 $ curl -L https://raw.github.com/pageauc/rclone4pi/master/rclone-install.sh | bash bash ver 1.6 written by Claude Pageau ---------------

[라즈베리파이] Raspberry Pi 3 처음 사용하기

이미지
라즈베리 파이를 처음 사용하기 위해 해줘야 하는 것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3를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곧 출시하게되는 라즈베리파이4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하면 될듯합니다.  Micro SD 카드 에 라즈비안(RASPBIAN) 이미지 파일 을 라이팅(writing) 하고  SSH 접속을 위해 필요한 작업 과 사용하기 전에 꼭 해줘야 하는 설정(raspi-config) 을 다룹니다.  1. Micro SD 카드에 라즈비안 이미지 라이팅(writing) 2. SSH 활성화 3. 라즈베리파이 사용하는 방법 4. 라즈베리파이에 할당된 IP 확인 5. SSH 클라이언트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에 접속 6. 처음 사용할 때 필요한 라즈비안 설정( raspi-config) 7. 관련 포스팅     7.1. Raspberry Pi 3 무선랜(WiFi) 설정 방법     7.2. Raspberry Pi 3를 VNC로 접속하여 원격 제어하는 방법  최초작성 2016. 4. 10 최종작성 2019. 8. 29 2019년 7월 10일날 릴리즈된 라즈비안을 사용해서 작성했습니다.  1. Micro SD 카드에 라즈비안 이미지 라이팅(writing) 1-1. Micro SD 카드를 컴퓨터에 연결하면 마운트된 드라이브가 보입니다. 기존에 라즈비안(RASPBIAN) 이미지 파일 을 라이팅(writing) 한 적이 있다면 아래 화면처럼 실제 크기에 비해 작게 나옵니다.   정상적인 크기로 나온다면 1-3번부터 진행하세요. 라즈비안에서 Micro SD 카드를 boot 파티션과 root 파티션 둘로 나누어 사용합니다. boot 파티션을 인식한 드라이브는 제대로 파일 내용이 나오지만 윈도우 버전에 따라서는 root 파티션이 제대로 인식안되어 다음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취소 를 누르고 무시하고 진행하면 됩니다.  1-2. M